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지식 공유

부동산 정비사업 종류

by 지식 공유자 2025. 4. 22.
반응형
부동산 정비사업 종류 한눈에 보기

부동산 정비사업 종류 한눈에 보기

정비사업은 노후·불량 건축물이나 주거환경이 열악한 지역을 체계적으로 정비·개선하기 위해 시행되는 도시정비 사업입니다.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 재건축, 도시환경정비, 주거환경관리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각각의 정의와 특징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정비사업이란?

정비사업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도시기능 회복과 주거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정비구역 내 노후·불량 건축물의 개량 또는 신축, 기반시설 확충 등을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정비사업은 도시의 체계적 관리와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부동산 개발의 한 축입니다.

정비사업의 주요 종류

  • 주거환경개선사업 : 도시 저소득 주민이 집단 거주하는 지역 등, 정비기반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의 주거환경을 보전·정비·개량하는 사업
  • 주택재개발사업 :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거나, 상업·공업지역 등 도시기능 회복이 필요한 곳에서 시행하는 사업
  • 주택재건축사업 :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지만 노후·불량 공동주택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
  • 도시환경정비사업 : 상업지역·공업지역 등에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심 기능 회복, 상권 활성화 등을 위해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사업
  • 주거환경관리사업 : 단독·다세대주택이 밀집한 지역에서 기반시설과 공동이용시설을 확충해 주거환경을 보전·정비·개량하는 소규모 정비사업
  • 가로주택정비사업 :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가로구역에서 기존 가로를 유지하며 소규모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
참고: 최근에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가로주택정비, 자율주택정비, 소규모재건축 등)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비사업 종류별 비교표

구분 대상지역 주요목적 주요특징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시 저소득주민 집단거주, 기반시설 극히 열악, 노후·불량건축물 과도하게 밀집 주거환경 보전·정비·개량 현지개량, 공동주택건설, 공공주도
주택재개발사업 기반시설 열악, 노후·불량건축물 밀집, 상업·공업지역 포함 주거환경 개선, 도시기능 회복 관리처분·환지방식, 조합/공공시행
주택재건축사업 기반시설 양호, 노후·불량 공동주택 밀집 주거환경 개선 관리처분방식, 조합시행, 안전진단 필요
도시환경정비사업 상업·공업지역, 도심·부도심 등 도시환경 개선, 상권활성화 관리처분·환지방식, 대규모 복합개발
주거환경관리사업 단독·다세대주택 밀집지역 주거환경 보전·정비·개량 공공주도, 소규모 정비, 공동이용시설 확충
가로주택정비사업 노후·불량건축물 밀집 가로구역 소규모 주거환경 개선 기존 가로 유지, 신속 추진, 소규모사업

정비사업별 간단 요약

  • 주거환경개선사업 : 노후도 가장 심한 저소득 밀집지역, 공공주도, 현지개량 또는 공동주택건설
  • 재개발사업 : 기반시설 열악+노후건축물 밀집, 조합 또는 공공시행, 주거+도시기능 개선
  • 재건축사업 : 기반시설 양호, 노후 공동주택 밀집, 조합시행, 안전진단 필수
  • 도시환경정비사업 : 상업·공업지역, 도심재생, 복합개발
  • 주거환경관리/가로주택정비 : 소규모, 신속, 공공지원, 기존 가로망 유지

마무리

정비사업은 도시의 노후화와 주거환경 악화에 대응하는 핵심 정책입니다.
각 사업의 대상과 목적, 추진방식이 다르므로, 사업 참여나 투자를 고려할 때는 대상지역과 유형별 특징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